아이성격의 미스테리 [56화] 아이의 분노를 디자인해볼까요?
등록 2020.01.23 수정 2020.02.19
아이들이 분노를 조절하는 데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화를 내는 아이를 야단치기 보다는 아이가 느낀 감정을 부모들이 잘 반영해 주어야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보다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분노를 조절하는 데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엄마들도 단계별 교육을 받았는데요, 가장 큰 고민은 뭘까요?
이도윤 엄마: 우리 아이는 어릴 때부터 남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면 안 된다. 작은 일에도 참아야 되고 그런 게 많이 쌓인 것 같아요
신민섭 교수(소아청소년 정신과): “화를 안으로 안고 있는, 표현 못하는 애들이 있어요. 그런 경우도 분노조절을 잘 한다고 보지는 않거든요. 그럴 땐 약간 우울해질 때가 있어요 그걸 자기 탓을 할 수 있거든요. 화를 밖으로 표현하면 남의 탓을 하는 거잖아요, 그렇죠? 그걸 내 탓을 하면 자기가 못 난 거 같고 자기가 바보 같고 그래서 자기를 탓하게 되거든요. 우리는 화를 낼 줄 몰라 라는 거보단 그 시기엔 화도 조금 낼 줄은 알아야 됩니다. 너는 왜 괜히 그런 일에 화를 내니? 그러고 야단치시기 보다는 아, 그래서 굉장히 속상했겠구나 그렇게 먼저 그 감정을 읽어 주시고 아이가 느낀 감정을 부모님들이 잘 반영해 주셔야 아이가 자기 감정을 잘 인식할 수 있거든요.”
화 내지 않고 자기 의견을 전달하는 것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에게도 중요합니다. 평소 다툼이 잦은 엄마와 도윤이가 전문가를 찾았습니다. 그리고 엄마와 도현이가 자주 겪는 갈등상황을 재현해 봅니다.
도현이 엄마: “도현아, 알림장 좀 가져와. 내가 네 글씨만 보면 화가 나. 도현아 글씨라는 건 너도 알아보고 남도 알아봐야 하잖아. 다시 써와. 도현아, 아예 학교에서 제대로 쓰던지 그렇지 않으면 엄마 검사한다고 가져오라고 할 때 ‘엄마 다시 써 올게요’ 그렇게 얘기 하던지, 아니면 지금이라도 다시 써오라고 그러면 빨리 가서 다시 써와야지 뭐 하고 있어!”
모자의 재현 상황을 전문가가 지켜보면서 꼼꼼이 분석합니다. 과연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김주아(발달심리전문가): “대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아이에게 이렇게 감정을 자극하는, 비난하고 지적하고 또 그 아이한테 무조건 지시적으로 하는 부분들이 아이로서는 되게 무시당한다는 느낌이 들고 경멸을 받는 느낌이 될 수가 있어요. 그래서 그 대화법을 좀 배우고 이 상황을 다시 한번 해 보시면 관계가 굉장히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아요.”
자, 엄마가 대화법을 바꿔 보기로 합니다
도현이 엄마: 엄마가 잘 읽어 보니까 이렇게 이렇게 말이 되는 거 같아, 맞아? ‘니 말이 맞아?’ 라고 엄마가 물어보지 않게 도현이가 알아볼 수는 있게 써줘야 돼 꼭? 내일은 알아볼 수 있게, 모레는 조금 더 예쁘게, 그 다음 날은 글씨가 좀 더 많이 이뻐졌는데 이렇게 할 수 있게 해 줘.”
신민섭 교수: “짜증내고 소리 지르는 거 보다 ‘엄마가 이러니까 내가 이렇게 속상했는데, 이렇게 해주시면 좋겠어요.’ 라고 아이도 얘기하고 엄마도 그럴 때 서로의 감정을 공감하고 이해해주면 이제 아이들이 화난 감정도 그냥 폭발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잘 조절된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되죠. 또한 부모님도 그 상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니까 부모 자녀의 관계가 더 원만해지고 즐거워질 수 있게 됩니다.”
화라는 감정은 순간이지만 이 감정을 잘 다루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만약 당신이 분노를 긍정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면 당신의 삶 역시 당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제공

매일아이의 소중한 자산을 지켜주세요.
매일아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같은 카테고리 인기 콘텐츠
태어나서 만 2년이 될 때까지 적절한 보살핌과 관심을 받지 못한 유아의 경우, 부모의 방치가 심할수록 뇌의 성장은 더디었습니다.
언어는 행동뿐만 아니라 세상의 프레임을 결정합니다. 그래서 프레임을 바꾸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를 바꿔 나가야 합니다.
엄마놀이와 아빠놀이가 다른 이유는 여자와 남자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남녀의 어떤 특성이 놀이에 반영되는 걸까요?
육류만큼 단백질이 풍부하면서도 칼로리는 낮은 음식, 생선. 하지만 생선은 수은 함량이 높아 아이들의 경우 일주일에 2~3회 섭취는 위험합니다.
독일 본 대학의 브레인센터 베버박사는 성격이 뇌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