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두뇌의 비밀 [42화] 전두엽은 어떤 역할을 할까?
등록 2019.12.23 수정 2020.02.19
모든 동물에게는 뇌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이유는 뭘까요? 차이가 있다면 단 하나, 전두엽이 활성화되고 안되고의 차이입니다. 원시적인 충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전두엽의 역할이기 때문이죠.
청소년 시기가 되면 전두엽은 거의 새로 태어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전두엽의 구조나 전두엽의 네트워크, 시냅스의 형태, 세포의 숫자, 신경세포 자체의 숫자, 이런 것도 전반적으로 변화가 일어납니다. 12세부터 17세까지가 전두엽에 있어서는 가장 왕성한 발달의 시기인 셈입니다. 그런데, 그 왕성한 발달의 토대는 이미 초등학교 때의 경험에 의해 결정됩니다.
왜냐하면 5세에서 12세까지 그런 경험들 중에 의미 있는 경험들을 한 그런 신경 세포와 신경회로만 살아남기 때문이죠. 쓸모가 없었던 신경회로나 신경세포들은 12세 때, 즉 전두엽이 왕성하게 발달하는 시기에 다 솎아져 나가게 됩니다. 그 과정을 결정짓는 것이 7세부터 12세까지의 경험에 근거한다는 것이죠.
초등학교 때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하라는 말은 그래서 나왔습니다. 불필요하다고 판단해 솎아내 버리기 전에, 다양한 경험을 통해 좀 더 많은 회로와 세포를 확보해두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경험적 특성들은 사춘기 때 겪는 변화의 혼란들을 정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초등학교 시기 아이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자극과 그것을 새로운 과제로 받아들이고 성취해내는 성취감과 성공경험은 그 아이들의 뇌에 아주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아이가 스스로의 일에 행복해하고, 동기부여 할 수 있고, 많은 대인관계를 통해서 우정을 쌓고 공정한 경쟁을 배울 수 있는 시기로 초등학교 시기를 보낸다면 아이는 그것을 통해 평생을 살아갈 수 있는 귀중한 자산을 얻게 될 것입니다.
제공

매일아이의 소중한 자산을 지켜주세요.
매일아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같은 카테고리 인기 콘텐츠
육류만큼 단백질이 풍부하면서도 칼로리는 낮은 음식, 생선. 하지만 생선은 수은 함량이 높아 아이들의 경우 일주일에 2~3회 섭취는 위험합니다.
[21화] 임신 소식에 무반응인 남자들, 너무 나무라진 마세요.
아이란 존재의 갑작스러운 출연을 남자는 어떻게 받아 들일까요?
바쁜 아이들은 아침밥을 거르기 일쑤죠. 하지만 아침밥을 거르면 건강에 적신호가 오게 됩니다.
핀란드와 독일, 영국 유럽 국가들과 이스라엘에서는 취학 전에 문자 교육을 철저하게 금지하고 있습니다.
전두엽은 원시적인 충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