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병 식사계획

등록 2023.01.18

임신성 당뇨병 식사계획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을 받게 되면 어느 정도로 먹어야 할지가 가장 고민이 됩니다.

보통 임신 24~28주 사이에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으므로 임신 중/후기 권장량에 적용하게 되면 임신 전보다 하루 약 340~450 kcal 더 많이 먹는 것이 필요합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임산부인 경우라도 지나친 열량 제한은 아기의 성장을 위해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1식단을 짜기 위해 우선 일일 필요 열량을 계산합니다.

    - 임신 초기(1~13주) : 표준체중1) × 25~30kcal2)
    - 임신 중기(14~27주) : 표준체중1) × 25~30kcal2) + 340kcal3)
    - 임신 후기(28~40주) : 표준체중1) × 25~30kcal2) + 450kcal3)
    - 수유기 : 표준체중1) × 25~30kcal2) + 340kcal3)

    1)표준체중(kg) = 키(m)의 제곱×21 2)활동량에 따른 에너지 필요량 3)임신 수유로 인한 추가 에너지 필요량

  • 2본인의 필요 열량에 맞는 식품교환표를 활용하여 식단을 구성합니다.

    하루 필요 열량을 맞게 산출하여 열량에 따른 식품 교환 단위수를 확인합니다. (표. 열량에 따른 식품군별 교환 단위수) 일정한 혈당 유지를 위해 아침, 점심, 저녁과 2번의 간식 및 야식을 계획하여 배분합니다.

[예시] 66 kg의 임신 중기 임신부의 하루 식단

- 에너지 : 66 kg X 25 kcal +340 kcal = 1,990 kcal (약 2,000 kcal)
- 단백질 : 66 kg X 1.5 = 99 g

도움말

매일아이의 소중한 자산을 지켜주세요.
매일아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같은 카테고리 인기 콘텐츠

임신 8개월

임신 8개월 태아의 발육과 모체의 변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식품교환표 바로알기

식품교환표를 활용하여 손쉽게 식사 계획을 세워봅시다.

한달에 한개씩 난자를 배란하는 난소

난자와 난소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볼 수 있도록 합니다.

임신 후기 영양관리 원칙

성공적인 출산을 위해 체력 비축은 필수이며, 출산 후 모유 수유를 위해서라도 임신 후기 영양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임신 34주 특징

임신 34주차에 일어나는 모체와 태아의 변화

최상단으로 가기
닫기
자세히보기